이월결손금을 과다공제한 사례
(1) 개요
법인세신고 시 이월결손금을 공제함에 있어서, 직전 사업연도의 이월결손금 감액 경정액을 반영하지 않아 과다공제한 사례가 있다.
(2) 주의사항 및 실무상 Tip
법인세신고시 기초 확인사항으로 해당연도 법인세 · 부가가치세의 경정청구 · 수정신고 · 경정결정 사항을 확인하고 반영하여야 한다.
(3) 관련법령
1) 법인세법 제13조 [과세표준]
- ①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에 대한 법인세의 과세표준은 각 사업연도의 소득의 범위에서 다음 각 호의 금액과 소득을 차례로 공제한 금액으로 한다.
- 제14조 제3항의 이월결손금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금액
- 가. 각 사업연도의 개시일 전 15년 이내에 개시한 사업연도에서 발생한 결손금일 것
- 나. 제60조에 따라 신고하거나 제66조에 따라 결정・경정되거나 「국세기본법」제45조에 따라 수정신고한 과세표준에 포함된 결손금일 것
- 이 법과 다른 법률에 따른 비과세소득
- 이 법과 다른 법률에 따른 소득공제액
- 제14조 제3항의 이월결손금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금액
- ② 제1항의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다음 각 호의 금액은 해당 사업연도의 다음 사업연도 이후로 이월하여 공제할 수 없다.
- 해당 사업연도의 과세표준을 계산할 때 공제되지 아니한 비과세소득 및 소득공제액
- 「조세특례제한법」 제132조에 따른 최저한세의 적용으로 인하여 공제되지 아니한 소득공제액
'알쓸신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충당부채의 손금불산입 확인 (0) | 2025.03.03 |
---|---|
토지 재평가액 익금산입을 누락한 사례 (0) | 2025.03.03 |
외화자산의 평가손익의 세무조정을 확인하라 (0) | 2025.03.03 |
토지의 매입원가를 중복 계상한 사례 (0) | 2025.03.03 |
영세율매출을 누락하여 인정상여 처분된 사례 (0) | 2025.02.18 |